Page 36 - 사랑의교육106호
P. 36

□ 특별기고





                   므로 같은 일을 하면서 서로 다른 가치관을 갖고 제각기 자기 틀 속에서 해결방법을 모색한다는
                   이색적인 특징 때문이다. 바로 사상, 습관, 관습, 신념으로서 특정 사회집단의 종교적, 학문적,
                   환경적 특성 등 여러 가지의 특성들이 각기 별개의 문화와 집단의 상호 연관성을 형성한 결과이
                   다. 그러므로 견해차나 충돌을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터전이 마련된 셈이다.

                     이제부터 ‘갈등’을 바라보는 시각의 변화에서 새롭게 접근을 시도할 때 생산성과 연결고리를
                   이을 수 있다. 갈등해결에 중요한 열쇠가 바로 ‘가치관에 관한 갈등’의 차이를 인정하는 것에서
                   부터 출발해야 한다.

                     갈등해결은 내가 아닌 누군가가 대신해 줄 것이라 내버려둘 때 더욱 확산된다. 대다수의 사람
                   들은 특정한 문제에 직면했을 때 정면으로 맞서는 것이 두려워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우회하거
                   나 회피하는 방법을 추구한다. 그러나 갈등 자체는 회피나 거부로 해결할 수 없는 한계점이 있기
                   에 오히려 창의적인 갈등으로 변신하기 위해서는 갈등을 관리하고 가장 적절한 시점에 자신만의
                   노하우로 해결책을 찾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렇게 갈등은, 절대적으로 관리가 필요하다는 인식에서부터 생산성이 향상되기 시작한다.
                     아무리 탁월한 사람이라도 조직 내에서의 갈등을 피할 수는 없다.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능력
                   은 다름 아닌, 갈등관리 능력이다. 갈등을 외면하거나 무시하는 것이 아니라, ‘갈등’자체를 조직
                   발전의 디딤돌, 개인의 동기부여로 활용할 수 있도록 창의적이고 생산적인 긍정적인 갈등으로

                   승화시키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조직 내 갈등을 얼마나 신속하고 정확히 파악하여 근본 원인을 해결할 수 있
                   는 능력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가정이나 직장, 사회, 국가적으로도 갈등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만 있다면, 조직이나 구성원 모두가 상상을 초월하는 시너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시리즈 2. 갈등 해소를 위한 5가지 접근방법

                     갈등 해소를 위한 5가지 접근 방법(회피, 적응, 경쟁, 타협, 협력)은 가정에서의 부부관계, 직
                   장에서의 상하관계, 학교에서 학생과 학부모의 관계에서도 같이 접근하는 보편적인 방법으로
                   성별, 나이, 가치관 등에 따라 다양하고 복잡하다.

                                           접근방법에 따라 갈등이 다루어지는 방법과 그 결과 또한 다르며, 의
                    경쟁             협동
                                         도적이든 아니든 사람들은 제각기 갈등을 다룰 때 각자의 존재, 경험,
                                         가치관 등을 반영하여 선호하는 방법을 취한다. 갈등은 위험과 동시에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어 잘 해결되고 관리될 수 있다는 신념이 필요하
                           타협
                                         다. 개인이 갈등을 해결할 때, 바람직한 인간관계를 유지할 것인지에
                                         또는 목표를 성취할 것인지에 중점을 두느냐에 따라 결과는 달라진다.
                    회피             적응
                          인간관계



                   36 :: 사랑의 교육 106호                                                                                                                                                                  사랑의 교육 106호 :: 37







          사랑의교육106호.indd   36                                                                        2022-12-02   오후 3:26:01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