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4 - 사랑의교육106호
P. 34
□ 특별기고
조직의 성패를 결정짓는
갈등관리 능력
최 원 호 목사
은혜제일교회 목사
(사)국제청소년 문화교류협회 이사장
교직 현장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 중 한 가지가 바로 개인 간 또는 집단 간 갈등해결이다. 동료
교사 간의 갈등도 중요하지만, 학생과 교사, 학생 간의 갈등 중재, 교사와 학부모 등 수많은 갈등
의 소용돌이가 교육 현장이다. 갈등을 해소하는 방법에 있어 서로 대립하는 방식보다 화해를 추
구하는 방식으로 갈등해소법이 선호되며 이를 통하여 경쟁력이 강화될 뿐만 아니라, 자기를 보
호하고 신명나는 학교문화를 조성할 수 있다. 갈등에 대한 긍정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조직 구성
원간의 화합과 협력을 저해하는 불필요한 개인적이고 조직적인 요인에 대한 해결 방법을 시리즈
별로 제시하되 본 장에서는 2가지의 접근방법만 제시하고자 한다.
시리즈 1. 생산적이고 긍정적인 갈등이해
‘갈등’이란 단어에는 다양한 의미가 내포되어 있지만 그중에서 두 사람의 관심이 화합되지 않
는 상황을 설명한다. 물론 자기 혼자서도 내면의 갈등 속에 빠져들기도 하지만, 개인의 감정이
갈등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작용하여 다른 사람 또는 조직과 어떻게 상호연관성을 갖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를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의 원인인 ‘성냥’은 그 자체만으로 얼마나 유용하고 실용적인 물건인지 모른
다. 어떤 가연성 물질, 이를테면 종이, 휘발유, 물, 목재 등과 조합할 때 결과가 다르듯이 개인의
갈등 자체로는 특별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나’를 중심으로 가정에서 부모와의 관계, 학교에서 학생과의 관계, 직장에서 동료와의 관계,
상사와의 관계 중심이 어떻게 전개되느냐에 따라 생산적이고 긍정적인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하지만, 갈등 때문에 주변인과의 관계가 거부감, 불안, 회피대상 등으로 낙인찍히면 부자
연스럽고 불편한 관계가 지속하고 모든 것이 부정적이고 파괴적인 관계로 확대되는 잠재적 시한
폭탄과도 같이 불안정하다.
그러므로 자칫 잘못하면 대립과 분열, 파괴를 조장하는 절대적인 위협요소로 작용하는 요인을
사전에 차단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갈등을 겪는 개인은 도전과 용기 또는 좌절과 실패의 늪으로
34 :: 사랑의 교육 106호 사랑의 교육 106호 :: 35
사랑의교육106호.indd 34 2022-12-02 오후 3:2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