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8 - 사랑의교육106호
P. 28

□ 특별기고



                   의 큰 고구마를 찾아냈을 때의 희열 같은 것이다. 온고지신(溫故知新)이나 법고창신(法古創新) 같
                   은 말도 옛것을 잘 이해하여 새로운 것을 발견하고 창조하고 다듬어가는 것을 말하는 것이리라. 이
                   제 한 문장으로 된 엑기스들을 찾아 읽고 묵상함으로 우리의 지적 영역을 확장하고 사물을 꿰뚫어
                   보며 핵심을 파악하고 통찰력을 길러보도록 하자. ① “사람을 농락하면 덕을 잃고, 사물을 농락하
                   면 뜻을 잃는다.”(玩人喪德 玩物喪志/서경) 사람을 얕잡아 보고 대충 대하면 덕을 잃고 재물에만 의
                   지해서 좌지우지되면 뜻을 잃어버린다는 의미다. 사람을 이용하려 들거나 혹사시키면 ‘덕’을 잃게
                   된다. ② “평범한 덕(庸德)을 행하고 일상의 말(庸言)도 삼가 한다.”(庸德之行, 庸言之謹/중용) 용덕
                   (庸德)은 배려 또는 따뜻한 마음을 의미한다. 겸손하고 상대방을 깔보지 않는 너그러움을 말한다.
                   ③ “술수로는 안되지만, 지략에 이르면 아무도 막지 못한다.”(雖不事奇計變詐, 至於德慧術智, 亦不
                   可無/신음어). 성의와 성실(誠實)이 없으면 인간관계나 사업에서 성공할 수 없다. ④ “자기가 하기
                   싫은 일은 다른 사람에게도 시키지 마라.”(己所不欲, 勿施於人/논어). 이 명언은 기독교, 유교, 불
                   교 등 모든 종교에서 강조하는 인간관계의 철칙이다. 그래서 ‘황금률’(Golden rule)이란 타이틀
                   이 붙어있다. 기독교 성경(마 7:12)에도 나온다. “너희는 무엇이든지 남에게 대접을 받고자 하는
                   대로 너희도 남을 대접하라. 이것이 율법과 예언서의 본 뜻이다.”(Ask yourself what you want
                   people to so for you, then grab the initiative and do it for them, Add up God’s law and
                   Prophet) ⑤ “있을 때 베풀지 않으면 궁할 때 받을 것이 없다”(有而不施, 窮無與也/순자). 돈은 벌
                   기도 어렵지만 쓰기는 더 어렵다. 돈 쓰는 것을 보면 그의 사람(됨됨이)을 알아볼 수 있기 때문이
                   다. 유대인들이 사람들을 알아보는 방법으로 키소(돈 지갑), 코소(술잔), 카소(분노)라는 게 있다.
                   돈을 낭비하는 것은 문제지만, 너무 인색한 것도 문제다. 응당 써야 할 데 안 쓰면 인색한 것이고
                   쓰지 않을 데에 쓰면 낭비(허랑방탕)가 되는 것이다. 그래서 돈을 버는 것은 기술이고 돈을 쓰는 건
                   예술이란 말이 생겨난 것이다. ⑥ “인(仁)은 사람 마음의 도리이고, 의(義)는 사람이 걸어가야 할 길
                   이다”(仁之心也, 義人路也). 맹자는 사람이 인과 의를 갖추었을 때 비로소 믿을만한 사람이 될 수
                   있다고 가르쳤다. 인은 배려인데 지나친 배려와 무가치한 배려를 삼가 조심해야 한다. ⑦ “백이(伯
                   夷)에 대해 들은 사람은 탐욕이 사라지고 그 뜻을 세운다”(聞伯夷之風者, 頑夫廉懦夫有立志/맹자).
                   정치판에서 오랜 시간 겪었어도 좋은 것은 하나도 배운 게 없고 영 못된 것만 배워서 인간적으로
                   하찮은 사람이 적지 않다. 경험의 시간도 중요하지만 누구 밑에서 어떻게 배웠나 하는 것은 더 중
                   요하다. 수신제가(修身齊家)가 안된 사람이 치국(治國)을 하면 세상은 살기 힘든 곳이 되고 만다.
                   우리나라 국회의원들을 보면 국회에 가기 전에 괜찮은 사람들이었는데 여의도에 가서 버린 사람
                   이 적잖다. 불행하고 안타까운 일이다. 명예가 중요한 직분자가 그 명예를 무시하면 남루하고 추해
                   지는 법이다. ⑧ “인과 격의 두 글자는 행복과 불행의 경계가 된다”(忍激二字是禍福關/신음어). 급
                   한 성질은 손해 보는 성질이다. “참을 인(忍) 자가 셋만 있으면 살인도 면할 수 있다.” “백 번 참으
                   면 집안에 태평함이 있다”(百忍堂中有泰和)는 격언은 참는 것이 얼마나 중요하며 얼마나 어려운 일
                   인가를 가르쳐 주고 있다. 성경은 예수님의 인품(성령의 열매)으로 사랑, 기쁨, 화평, 인내, 친절,
                   선함, 신실, 온유와 절제 등 9개 덕목(갈 5:22-23)을 가르쳐 주고 있다.

                     (F) 거꾸로 생각하며 배우기

                     이순신 장군의 명언 중에 “必死卽生, 必生卽死”(반드시 죽고자 하면 살 것이요, 반드시 살고자 하


                   28 :: 사랑의 교육 106호                                                                                                                                                                  사랑의 교육 106호 :: 29







          사랑의교육106호.indd   28                                                                        2022-12-02   오후 3:26:01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