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7 - 사랑의교육106호
P. 97
□ 중앙회 활동
이와 관련하여 최근에 수행된 연구결과(그림2 참조)는 SQ와 IQ, EQ의 관계를 잘 보여
주고 있습니다. 세 지능과 성적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에서는, SQ가 IQ와 EQ을 통해 성적
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입증되었습니다. 즉, SQ가 높아지면 IQ와 EQ도 높아져 성적
도 좋아질 수 있다는 연구결과입니다.
또한, 세 지능과 행복감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그림3
참조)에서도, SQ는 IQ와 EQ를 통해 행복감을 높이는 데
영향을 미쳤습니다. 여기서 재미있는 것은 우리가 한때
중요하게 생각하였던 IQ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다는 사실입니다. 행복감의 경우, SQ는 EQ를 통해서만
영향을 미칩니다. IQ가 좋다고 결코 행복해지는 것이 아 [그림] SQ와 성적과의 관계
니라는 것입니다.
(2014년, 충남대와 글로벌SQ연구소 공동연구 결과)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결국, SQ를 높이면 성적도 행복
감도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SQ가 IQ
나 EQ처럼 어떤 한 영역에 기능적으로 작용하는 부분적
지능이 아니라 두뇌 전체를 통합하고 관할하는 인간의
근본 된 지능임을 말하고 있습니다. [그림] SQ와 행복감과의 관계
연구에 의하면 SQ의 구성요소(그림4 참조)는 실존지
능, 초월지능, 의미지능, 관계지능, 내면지능, 의식지능
으로 제시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능력을 측정하여 SQ의
수준을 알 수 있습니다. IQ는 대체로 논리수학, 언어, 공
간지능을 통해 측정하고 EQ는 자기 감성 이해, 타인 감
성 이해, 감성의 활용능력 등을 통하여 EQ의 수준을 측
정합니다. 이처럼 SQ도 실존지능 등 6가지 하위지능을 [그림] SQ모델
통해 그 수준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SQ의 학교 현장 적용
우리 청소년들에게 SQ의 적용이 절실하게 필요합니다. SQ의 각 구성요소인 실존지능,
96 :: 사랑의 교육 106호 사랑의 교육 106호 :: 97
사랑의교육106호.indd 97 2022-12-02 오후 3:2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