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갑부 빌 게이츠는 자녀들에게 얼마 만큼의 용돈을 주고있을까? 이것을 궁금하게 여긴 방송사가 CBC였다. 2007년 빌 게이츠가 캐나다를 방문했을 때 이 방송사의 앵커가 이 문제를 빌 게이츠에게 물어보았다. 빌 게이츠는 조금도 망설이지 않고 대답했다. “한 주일에 1달러씩 준다”는 것이었다. 매주 1200원의 용돈을 준단다.
빌 게이츠에게는 제니퍼, 로리, 피비라는 세 딸이 있었다. 그 중 큰 딸이 1996년생이다. 미국의 어린이 전문 미디어 업체인 니켈로디언(Nickelodeon)의 조사에 의하면 미국 내 12-17세 사이의 아이들이 받는 1주일 평균 용돈은 16달러 6센트(약 1만 8천원)라고 한다. 그런데 빌 게이츠는 미국 평균 용돈의 10%도 채 안 되는 금액을 용돈으로 주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 그의 자녀들은 다른 방법으로 용돈을 충분히 쓰고 있었다. 단 그 방법이 좀 다른 것 뿐이었다. 부모님으로부터 거저 받는 용돈보다 집안에서 각자 용돈을 벌어서 쓰도록 가르치고 있었다. 자녀들이 어려서부터 돈을 번다는 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지를 배우게 하고 있었다. 딸 아이가 아무리 휴대전화를 사달라고 원해도 사주지 않는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아버지 빌 게이츠는 말한다. 자녀들이 물건을 쉽게 가지면서 스스로의 힘으로 세상을 살아가는 것이 얼마나 힘든 일인지를 제대로 알지 못한채 자라나게 할 수는 없다는 것이었다. 이것이 그가 자녀들에게 자립심을 길러주는 교육의 한 단면이었다.
우리들이 투자자가 될까? 투기자가 될까? 시장에 모두의 관심이 집중될 때가 가장 위험한 순간이다. 많은 사람들이 낙관적으로 시장을 바라볼 때 위기에 대비하여야 하고 많은 사람들이 비관적으로 시장을 전망할 때 기회를 준비하여야 한다.
이제 빌 게이츠 가문의 <자녀교육 10계명>을 같이 알아보자.
①큰 돈을 그냥 주면 결코 창의적인 아이가 되지 못한다: 진짜 부자 아빠는 자녀에게 큰 돈을 주지 않는다. 부모가 부자인 아이들은 열심히 일하지 않아도 되고 부모에게 물려받는 재산으로 풍족하게 살아갈 수 있다고 믿을 수 있기 때문이다. 후손들의 무능함과 허영심, 낭비 등 오히려 독이 된다는 사실을 명심히야 한다.
재산은 “너에게 남겨줄 유산이 아니라 사회에 환원할 것이다”라고 가르쳐야한다.
②부모가 나서서 아이의 인맥 네트워크를 넓혀주어야 한다. 빌 게이츠를 세계 최고의 갑부로 만든 것을 명문학교 친구들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그는 레이크 사이드 중·고교와 하버드 대학을 나왔다.
③단점을 보완해주고 뜻이 통하는 친구들을 사귄다. 평생의 재산이 될 인간관계는 학교에서부터 시작된다. 빌 게이츠는 레이크사이드 고등학교와 하버드대학에서 폴 앨런과 스티브 발머라는 두 친구를 만나 세계 최고의 소프트웨어 회사를 키웠다. 두 친구들은 어떠한 고민도 다 털어놓을 정도로 매우 가까운 친구사이다.
④어릴 때는 공상과학소설을 많이 읽는다. 그는 아직도 공상우주 과학영화인 ‘스타트렉’에 열광하는 팬이다. 일곱 살 때부터 시애틀에서 열린 세게박람회는 그에게 과학의 세계를 동경하는 계기를 만들어 주었다. 어려서부터 백과사전을 외우는 것과 위인들의 전기를 빠짐없이 읽었다.
⑤어머니의 선물이 때로는 아이의 인생을 바꾼다. 빌 게이츠는 어머니가 사주신 컴퓨터로 지금의 갑부가 되었다. 빌 게이츠는 “미래로 가는 길”에서 아이와 컴퓨터는 죽이 잘 맞는다고 보았다. 아이는 새로운 물건에 주눅들지 않고 호기심으로 컴퓨터를 건드리면 컴퓨터는 즉각 반응을 보이기 때문이다. 자녀들이 컴퓨터에 푹 빠져있는 것을 보고 걱정하는 부모들이 많겠지만 컴퓨터에 아이들이 몰입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것이다. 그러기에 올바르게 사용하는 범만 잘 가르쳐 주면 되는 것이다.
⑥신문을 보면서 세상 보는 안목과 관심분야를 넓힌다. 지금도 일주일 동안의 신문들을 처음부터 끝까지 빼놓지 않고 읽는 습관을 갖고 있다. 신문이 자신의 관심분야를 넓혀주고 미래의 일을 알려주기 때문이라고 한다. 아무리 컴퓨터가 모든 일을 다 해준다 해도 책의 용도는 여전히 있는 것이다. 그래서 그도 자신의 아이들에겐 컴퓨터보다 책을 사주었다. 컴퓨터 황제라도 컴퓨터보다 책을 먼저 가까이 하도록 한 이유를 알아차려야 한다.
⑦부잣집 아이라고 너무 곱게 키우지 말라. 초등학교 6학년 때 학교 성적도 나빴고 가족과의 관계도 원만하지 않아 상담도 받았다. 그의 부모는 외골수로 빠지기 쉬운 아이들을 위해 보이스카웃 캠프에 보내 테니스와 수상스키도 가르쳤다. 요일에 따라 다른 옷을 입히고 규칙적인 식사와 시간 낭비의 최소화를 훈련시켰다⑧기회가 있을 때 머뭇거리지 않고 과감하게 도전한다. 그가 하버드를 중퇴하고 IT산업에 뛰어들겠다고 했을 때 우리 같으면 과연 찬성했을까?
⑨어린시절의 다양한 경험은 자라난 후 든든한 사업밑천이 된다. 숙제나 악기연주 등 그날 할 일은 반드시 그날 하게 했다. 4-5장이면 될리포트를 30장 이상의 논문으로 제출하기도 했다.
⑩부모가 자선에 앞장서면 자녀들은 자연스럽게 본받는다. 부모는 항상 역할모델이다. 시애틀의 이름난 은행가와 변호사 가문으로서 부자의 사회적 책임을 몸소 보여주었다. 빌 게이츠 아버지는 상속세 폐지 반대 운동가였다. 돈에 대한 철학이 분명했기 때문이다. 부자들이 계속 욕심을 내면 미국의 민주주의와 자본주의는 망할 수밖에 없다는 신념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