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사에는 상생(相生)과 상극(相剋)이 있다.
상생은 만나는 양편이 모두 유익이 있는 것(win-win)이요 상극은 만남으로 인해 서로가 손해를 보는 것(lose-lose)이다.
사람뿐 아니라 음식도 상극이 있다. 섞어먹거나 같이 먹으면 안 되는 것들이다. 이 또한 우리의 건강과 평안을 위해 잘 알아둘 필요가 있는 것이다.
쇠고기와 버터: 쇠고기에는 콜레스테롤이 많이 들어있고 동물성기름으로 만든 버터에도 콜레스테롤이 많기 때문에 이 둘이 합해지면 콜레스테롤의 급증을 막을 수 없다.
라면과 콜라: 라면은 화학적으로 칼슘과 결합을 잘하므로 칼슘부족을 초래할 수 있는데 콜라도 같은 성질을 갖고 있어 둘을 같이 먹는 것은 피하는 게 좋다.
홍차와 꿀: 홍차의 떫은맛인 탄닌성분이 꿀의 철분과 결합하면 체내에 흡수되지 않는 나틴산철로 변하기 때문에 같이 먹으면 안 좋다.
게와 감: 게는 식중독균의 번식이 잘되는 고단백식품이고 감은 수렴작용을 하는 탄닌성분이 들어 있어 이 둘을 같이 먹으면 소화불량과 식중독을 일으키기 쉽다.
간(肝)과 곶감: 간은 양질의 단백질과 비타민, 칼슘, 철이 많으나 감의 떫은 성분인 탄닌이 철분의 결합을 방해하고 탄닌과 철분이 결합하면 탄닌산철이 되어 녹지 않고 그대로 배설돼 버리므로 좋지 않다.
도토리묵과 감: 도토리의 주성분은 녹말과 탄닌이고 감에도 탄닌이 있다. 이 둘을 같이 먹으면 변비가 심해지고 빈혈증이 나타나며 적혈구를 만드는 철분이 탄닌과 결합해 소화흡수를 방해한다.
문어와 고사리: 문어는 질겨서 소화가 잘 안되는 음식이다. 고사리도 위장이 약한 사람에겐 소화불량을 일으키므로 둘을 합해 먹으면 소화에 문제가 생긴다.
선지와 홍차: 선지는 철분이 많아 빈혈증 환자에게 좋은 음식이다. 그러나 홍차와 같이 먹으면 홍차의 탄닌과 철분이 결합해 탄닌산철을 만들어 철분의 효능을 반감시킨다.
시금치와 근대: 시금치에는 옥산살이 다량 들어 있는데 이것이 수산석회가 되어 결석을 만든다. 그리고 근대에는 수산이 많이 들어 있어 시금치와 합하면 옥산살 덕분에 신석증이나 담석증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
우유와 설탕, 소금: 우유에 설탕을 넣으면 단맛 때문에 마시기는 좋으나 비타민 B1의 손실이 커진다. 소금을 넣어 먹는 것이 낫다.
오이와 무우: 오이에는 비타민 C가 들어있지만 칼질을 하면 아르코르비나제란 효소가 나와 비타민 C를 파괴한다. 그러니 무와 섞으면 무의 비타민C까지 파괴 될 것이다.
장어와 복숭아: 장어를 먹고 복숭아를 먹으면 복숭아에 함유된 유기산이 장에 자극을 주어 지방이 소화되는 것을 방해하므로 설사를 일으킨다.
조개와 옥수수: 조개류는 단백질과 당질은 풍부하지만 부패되기가 쉽고 산란기에는 적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독성물질을 만들기 때문에 소화가 어렵다. 그리고 옥수수도 소화가 잘되지 않는 성분을 갖고 있어 이 둘을 같이 먹으면 소화가 어렵다.
콩과 치즈: 치즈에는 칼슘이 많고 콩에는 칼슘보다 인산이 많은데 이 둘을 함께 먹으면 인산칼슘이 생성되어 몸 밖으로 빠져나가 버린다.
토마토와 설탕: 설탕이 인체내에서 분해, 이용되려면 비타민 B1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데 토마토가 갖고 있는 비타민 B1이 설탕의 대사에 빼앗기게 되므로 토마토의 영양분이 손실된다.
비타민과 차: 녹차나 홍차에 들어있는 탄닌성분이 약물 고유성분을 변화시켜 약효를 떨어뜨리기 쉽다.
시금치와 두부: 시금치에는 옥산살이 들어있고 두부에는 칼슘이 많이 있는데 이 둘이 결합하면 불용성의 수산칼슘이 생성되므로 인체의 칼슘섭취가 줄어들어 결석증을 유발하기 쉽다.
와인과 카레: 카레의 매운맛이 와인 속에 잠재되어 있는 알콜성분을 각성시켜 입안이 타는듯한 느낌을 준다.
초콜릿과 우유: 우유의 유지방과 초콜릿의 유지방이 결합하면 성인병을 유발하기 쉽다.
돼지고기와 도라지: 도라지는 기침이나 천식에 좋은 뿌리채소이고 돼지고기는 이 기능을 방해하는 성분이 있어 합해 먹는 것은 좋지 않다.
쇠고기와 고구마: 쇠고기와 고구마는 소화에 필요한 유산농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음식물이 위에 체류하는 시간이 길어져 소화를 방해한다.
땅콩과 치즈: 둘 다 지방이 많이 있어 성인병의 유발위험이 있고 인산칼슘이 만들어져 흡수되지 않고 배설되어 버린다.
바지락과 우엉: 우엉에 들어있는 섬유질이 바지락과 만나면 철분흡수율이 떨어진다.